휴대폰 절연띠
- 과학이야기/생활에서
- 2020. 1. 9. 10:15
요즘 휴대폰은 디자인이 매끈하고 깔끔해서 참 잘 만들었다는 생각을 늘 하곤 합니다.
절연띠
테두리에 금속으로 깔끔함을 더 높일 수 있는데 아래 사진에서처럼 플라스틱이 중간에 있어 디자인으로 보자면 흠이라면 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또 떨어트리기라도 하면 이 부분이 가장 잘 부서지기도 합니다.
전자기파
휴대폰에서는 전자기파(우리가 흔히 말하는 전파)를 받아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.
전자기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계속 변하면서 에너지를 수송하는 파동입니다.
빛이나 마이크로파 라디오파도 모두 전자기파의 한 종류이고 진동수가 다를 뿐입니다.
전자기유도
다른 현상으로 보이지만 전자기 유도 현상을 몇번 살펴 보았습니다.
둘러진 고리 전선에 자기장의 크기가 바뀌면 방해하는 방향으로 전류가 만들어 지는데 이 전류를 맴돌이 전류라고 합니다.
맴돌이 전류가 생기면 휴대폰 안으로 들어오는 전자기파를 방해하게 됩니다.
맴돌이 전류가 흐르기 위해서는 고리가 있어야하는데 휴대폰 주변에 둘러진 금속 테두리가 이 고리 역할을 해서 맴돌이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.
전자기파를 휴대폰안으로 손실없어 들어가게 하기 위해서는 맴돌이 전류가 생기지 않게 고리를 끊어 주어야 합니다.
이 플라스틱의 역할이 테두리 금속이 고리역할을 하지 못하게 끊어주는 역할을 해서 이름을 절연띠라고 부르고 있습니다.
'과학이야기 > 생활에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현관 3연동 중문의 구조와 원리 (6) | 2020.01.22 |
---|---|
정전기 방지 팔찌 (13) | 2020.01.14 |
센서등의 원리 (35) | 2019.08.03 |
날개없는 선풍기의 원리 (28) | 2019.05.18 |
필름 사진과 디지털사진의 원리 (16) | 2019.05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