몇년 전 친구 아이가 교내 실험대회에 참가한다고 전화가 왔었습니다. 과학 전람회의 입상작을 보거나 교내 대회에서도 중요한 몇가지 특징이 있습니다. bill_oxford, 출처 Unsplash 1. 주제의 창의성2. 실험 과정의 독창성3. 결과의 유익성 주제의 창의성남들이 하지 않은 분야를 선택하면 좋겠지만 워낙 많은 대회에다 많은 학생이 참여하고 학생들이 접근할 수 있는 수준이 한계가 있어서 아주 특별한 소재를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.한 대회에서 같은 소재가 5~6가지로 겹치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. 하지만 어떤 경우는 대상을 받기도 하고 어떤 경우는 입상도 못한 경우가 있는 것을 흔히 봅니다.특별한 주제에 대해 시작하면 이점이 있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크게 관계없다는 것이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.친구 아이..
아이의 첫 과학전람회는 5학년때 4학년 담임선생님의 제안으로 경험하게 되었습니다. 아이의 성적은 아주 좋은편이 아니고 엄마들이 과학 행사에 관심이 워낙 많은 학교여서 제아이에게 그런 제안이 올 줄 몰랐습니다. 나중에 선생님 말씀이 토론을 하면 너무나 열정적으로 참여해서 모험을 해봤다고 하시네요. 어쨌던 전국대회는 참석하지 못했지만 시대회에서 3등을 했고 아이가 한층 더 자란 느낌을 받았습니다. 학교마다 좀 다르지만 과학행사에는 선생님이 적극적으로 주제를 정한 뒤 아이를 선택하는 경우와 학부모가 좋은 주제를 가지고 제안하는 경우 그리고 선생님이 아이를 선택한 후 같이 주제를 잡고 실험을 해 가는 경우들이 있었습니다. 한번의 입상후 아이는 선생님들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과학 행사에 자주 참여하게 되었습니..